박물관-QGIS(지리공간정보시스템) 강의계획(안)
○ 강의소개
- GIS(Geographic Information System)란 인간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정보시스템이다.
- GIS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대상에 대한 위치자료(spatial data)와 속성자료(attribute data)를 통합·관리하여 지도, 도표 및 그림들과 같은 여러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. 즉 GIS란 넓은 의미에서 인간의 의사결정능력 지원에 필요한 지리정보의 관측과 수집에서부터 보존과 분석, 출력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.
- GIS는 인간의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모든 자료를 취급하므로 광범위한 활용분야를 가지고 있다. GIS의 활용분야는 토지, 자원, 도시, 문화유산, 환경, 교통, 농업, 해양 및 국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.
- GIS는 모든 정보를 수치의 형태로 표현한다. 모든 지리정보가 수치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필요한 형식에 맞추어 출력할 수 있고, 기존의 종이지도의 한계를 넘어 이차원 개념의 정적인 상태를 삼차원 이상의 동적인 지리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다.
- GIS는 다량의 자료를 컴퓨터 기반으로 구축하여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으며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쉽게 결합시키고 통합 분석 환경을 제공하며, 이를 통해 다양한 계획이나 정책수립을 위한 시나리오의 분석, 의사결정 모형의 운영, 변화의 탐지 및 분석기능에 활용한다.
- 다양한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가지고 있는 수많은 데이터 파일에서 필요한 도형이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분석,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GIS의 핵심 기능이다.
- 본 수업은 GIS 분석 프로그램 중 하나인 QGIS를 이용한다. QGIS는 데이터 뷰, 편집, 분석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자유-오픈 소스 데스크톱 지리 정보 체계(GIS) 응용 프로그램이다. 실습은 문화유산 지형 경관 분석 및 자료 입력에 따른 SHAPE 파일 생성에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.
○ 문화인류학과와 GIS
인간의 문화는 공동체의 공간정보와 지리경험을 하나로 모으고 체계화하여 다른 사람도 읽고 판단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가치를 부여한다. 종이지도를 거쳐 오늘날 컴퓨터로 기록된 지리공간정보의 기록, 저장, 관리, 분석, 소통은 GIS로 이어져 있다.
우리는 왜 지도를 그리고 공간정보를 분석하는가?
과거부터 현대까지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인간의 숨겨진 공간 활용 패턴과 경향을 이해하기 위함이다.
GIS는 문화유산 기록, 보존, 관리를 통한 기초자료 획득 및 도시설계, 공간활용 패턴의 문화적 이해, 지역문제 해결의 커뮤니티 제공, 공유와 협업 등 고고학, 인류학, 문화재관리학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, 우리 학과 학생들의 사회 진출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된다.
○ 담당강사
- 김 명 천(서울대 환경조경학과 석사수료)
○ 강의 장소 및 일시
- 한양대학교 박물관 강성희세미나실 (2021년 6월 26일~2021년 7월 17일 매주 토요일 13시~17시)
○ 신청안내
- 2021년 6월 13일(일)까지 안신원 선생님께 메일, 문자, 카톡 등으로 개별 신청(수강인원 7인 이내이며 선착순 접수)
○ 유의사항내
- 본 수업은 토요일 4시간 동안 진행되는 집중강의이며 2021년 6월 26일(토)부터 시작되므로 결강하지 않고 끝까지 수강할 학생만 신청할 것.
대학원생은 전공 불문, 학부생도 환영
○ 강의계획(안)
주 | 강 의 내 용 |
1주차 (06.26.) | QGIS 개요 및 이해(사례 및 적용 예시) |
공간자료의 수집 및 가공 | |
주제도 데이터 가공 | |
주제도 작성 (지적도, 도로, 현황, 지질 등) | |
2주차 (07.03.) | 수치지형도 및 수치표고모형(DEM) 이해 |
수치지형도 가공 및 주제도 작성(Slope, Hillshade, Aspect 등) | |
수치지형도 분석 1(Hydrological Analysis) | |
수치지형도 분석 2(Layer Style 추출) | |
3주차 (07.10.) | GPS 자료 입력 |
면적 계산 및 버퍼 분석 | |
위성사진 중첩 | |
주제도와 위성사진 중첩 | |
4주차 (07.17.) | 3D DEM Visualization 최적거리계산 Model 생성(자동화) |